심의 요청에 방심위가 ‘무더기 기각’
“방심위 제 역할 해야”
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의 한 카페에서 공정언론국민연대를 비롯한 언론 시민단체들이 ‘정연주 방심위 체제 전면 퇴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지안 기자]언론사 노조와 시민사회단체가 연합해 만든 공정언론국민연대(공언련)가 방송심의위원회(방심위)를 향해 편파‧왜곡 보도를 멈추라며 정연주 위원장이 이끄는 방심위의 전면 퇴진을 요구했다.
8일 오전 공언련과 바른언론시민행동 등 언론 시민단체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방심위를 규탄하는 긴급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을 시작하기에 앞서 김백 공언련 이사장은 ”우리가 모니터링한 뉴스 중 심각한 경우에는 방심위에 심의요청을 하는데 방심위가 일방적으로 심의를 하지 않거나 무더기로 기각하는 등의 충격적인 일을 벌이고 있다”라며 회견 취지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김 이사장은 “방심위가 제 역할을 하고 있지 않고 이는 방심위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일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공언련과 바른언론시민행동은 국민의힘이 2021년 8월부터 지난 5월까지 방심위에 심의 신청한 2316건을 분석한 결과 1085건(46.8%)이 요청만 접수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철호 공언련 공동대표는 “정연주 위원장 체제로 2021년 8월 출범한 제5기 방심위가
KBS,
MBC,
YTN 등 공영방송의 편파 왜곡 보도에 대해 ‘표현의 자유’ ‘최고 규제’를 명분으로 봐주기식 솜방망이 제재와 늑장 심의를 남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언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방심위의 주요 프로그램별 심의 현황에서 가장 많은 심의 건수를 기록한 프로그램은
TBS <김어준의 뉴스 공장>이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471건의 심의를 받았으며 이중 실제로 문제가 있는 ‘경고’ 수준의 심의를 받은 것은 8건이었다. 이 외에 53건은 ‘문제없음’, 129건은 ‘기각’이었고 현재 ‘처리 중’인 사안은 132건이었다.
최 대표는 “김어준의 뉴스공장 외에 편파 방송으로 국민적 지탄의 대상이 되었던
KBS,
MBC,
YTN, 연합뉴스는 단 하나의 경고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왜곡보도의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9월 윤석열 대통령이 방미 당시 불거진
MBC의 ‘비속어 발언 보도’를 들었다. 최 대표는 “(해당 보도는) 윤 대통령의 발언 중 전문가들도 확인하기 어려운 음성을 임의로 해석하고 자막에 ‘(미국)국회’까지 넣어 데이터를 조작했다는 지적을 받았다”고 전했다.
오정환
MBC 3노조위원장은 “지난달 말 광양제철소 앞에서 금속노련 사무처장이 체포됐는데
MBC가 보도한 화면에는 노동자가 진압봉으로 두들겨 맞는 장면이 나오지만 실제로는 그 사무처장이 칼 휘두르고 의자 집어던지는 상황이었다”라며 “이런 왜곡보도가 공영방송인
MBC에서 공공연하게 벌어지는 이유는
MBC는 법을 두려워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방심위의 역할을 강조했다. 오정근 바른언론시민행동 대표는 “언론의 가짜뉴스는 전체주의 확산에 기여하는 핵심 수단 중 하나”라며 “전체주의로 가는 길목에 방심위가 있어 그 역할을 잘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